안녕하세요
주네네 잡다구리 세상 "주니네 집주인"입니다.
2022.06.16 기획재정부에서 2023년부터 저출산 문제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"부모 급여"라는 대응책을 꺼내 들었습니다. 이는 2022년 대통령 선거 시 현 윤석열 대통령에 선거 공약 중 하나였었는데, 빠른 공약 이행으로 저출산 사항을 극복해 보려는 정부의 의지인 것 같습니다.
부모 급여란
- 2023년 기준 0세(2022년 1월생부터 적용) ~ 1세 자녀가 있는 경우, 현재 소득이나 지역과 관계없이 수당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적용기준
- 한도는 제도 시행 연도 기준 출생한 자녀에 나이에 따라 적용이 됩니다.
- 0세 : 기준 2023년 70만 원, 2024년 100만 원
- 1세 : 2023년 35만 원, 2024년 50만 원
* 세부 지침은 2022.07월 중 발표한다고 합니다.
* 기존 지급하는 영아 수당(200,000원)과 아동수당(100,000원)에 차액 분을 추가 지급하는 것으로 지급 안은 준비 중이라고 하네요
지원금 예시
- 실제 지원금 수령에 대한 예시입니다.
- 제 경우 셋째가 2022.08월 출생 예정으로
1. 2023.01월 ~ 2023.08월 : 월 70만 원
2. 2023.09월 ~ 2023.12월 : 월 35만 원
3. 2024.01월 ~ 2024.08월 : 월 50만 원
으로 지급 예정이네요
지급방법
- 매월 25일 지정된 계좌로 지급
(신청은 동사무소에 출생신고 시 진행되는 영아 수당, 아동수당 계좌와 동일하게 진행)
* 첫 시행은 2023.01.25부터라고 합니다.
아이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이렇게 지원정책이 된다고 하니 기쁜 마음입니다.
다음에는 더 좋은 정보로 공유드릴게요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육아 지원금] 다자녀 지원 혜택 1탄 (출산 지원금,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, 첫 만남 이용권, 영아수당, 아동수당 등) (0) | 2022.06.27 |
---|
댓글